반응형 SMALL 마음의 건강19 나는 어떤 사람일까? 내 마음의 상처들? '나'의 마음. 내 것임에도 왜 나는 '나'의 마음에 대해 알지 못할까? 그리고 참된 마음의 모습과 그 모습을 가꿔가는 방법은 무엇인가.먼저 큰 틀에서 보면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경쟁이라는 사회 속에서 살아왔다. 그 경쟁은 어쩔 수 없는 사회의 구조와 본능이라 볼 수 있다.어렸을 적 형제들 간에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받고 싶어 하는 마음에 있어지는 경쟁. 친구들 간에 관계를 맺어가며 있어지는 경쟁. 학교에서의 성적, 시험. 직장에서의 경쟁 등.. 끊임없는 경쟁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하지만 경쟁을 하며 이기고 지는 법. 그 속에서 느끼는 성취감, 만족감등을 통해 자존감을 키워가고 좌절감, 상실감등을 통해 실패를 극복하는 법. 감정을 추스르는 법등을 배우고 많은 감정들을 느끼고 배우며 성장해야 하는데 이.. 마음의 건강/내면 아이 마주보기 2020. 10. 20. 아름다운 생각, 내면 만들기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조각상이다. 이 조각상은 큰 대리석 하나를 깎고 다듬어서 만든 조각상이다. 피에타 조각상이 유명한 것은 사람의 근육, 움직임, 힘줄, 옷자락 등 그 하나하나의 섬세함 때문이다. 이 조각상 자체의 우수성도 우수성이지만 이 조각상을 조각한 미켈란젤로의 말도 한 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누군가가 미켈란젤로에게 어떻게 피에타상이나 다비드상 같은 훌륭한 조각상을 만들 수 있냐고 물었다. 그때 미켈란 젤로는 " 이미 조각상이 대리석 안에 있다고 상상합니다. 그리고 필요 없는 부분은 깎아내어 원래 존재하던 것을 꺼내 주었을 뿐입니다"라고 대답했다.이미 대리석 안에는 아름다운 조각상의 모습이 있었고 미켈란젤로는 필요 없는 부분을 잘라내어 그 모습을 드러내었다는 것이다. 이 말을 통해 우리의 내면도 생.. 마음의 건강/아름다운 생각 2020. 10. 19. 아름다운 내면 만들기. 내면, 마음의 중요함 빙산의 일각이라는 말이 있다. 위 사진과 같이 보이는 부분이 다가 아니라 그 밑에는 보이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큰 실체가 있다는 것이다.사람도 겉모습(외면)만 보게된다면 그 사람이 나의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다.나 자신의 모습 또한 단순히 눈에 보이는 모습 만이 다가 아니지 않은가. 나의 내면에는 나를 움직이고 나를 나타낼 수 있는 더 큰 힘들이 있는 것이다.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보통 눈에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고 살아가기에 서로 많은 오해와 상처가 생기기도 한다.어떤 사람은 일부러 속내를 보이지 않고 감추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은 자기 내면의 모습이 무엇인지 몰라 갈팡질팡 하고 우울감. 상실 감등으로 인해 술, 도박, 약물.. 다른 것에 기대기도 한다.나의 내면의 힘이 강해지고 내면이 아름다워.. 마음의 건강/아름다운 생각 2020. 10. 16. 내면의 아름다움. 생각의 아름다움 eunoia 만들기 나 자신을 지키고 주변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곧 내면의 힘과 내면의 아름다움을 가꿔가는 방법을 알아보겠다.영어 신조어 중 eunoia라는 말이 있다. 곧 아름다운 생각이란 뜻이다. 외적인 모습이 아닌 생각이 아름답다는 것이다. 사람은 보통 다른 사람을 볼 때 첫인상이라 해서 내 눈에 보이는 모습을 통해 그 사람에 대해 어느 정도 단정 짓고 편견을 갖는 일이 종종 있다. 그러다 보니 상대방에 대한 오해가 생기기도 하고 반대로 상대방이 나에 대한 오해가 생기기도 한다. (오해와 편견, 고정관념에 대해서도 나중에 설명해보겠다) 그리고 그런 오해가 벗어지는 데는 많은 시간들이 필요하고 그 오해가 벗겨지는 계기는 그 사람과의 대화를 통해 그 사람을 알게 되면서 이다. 생각. 성품. 마음씨 등..첫인상이 좋지 않.. 마음의 건강/아름다운 생각 2020. 10. 15. 인간 관계의 시작과 끝은 '나' 인간관계는 '나'라는 사람과 다른 사람과의 만남에서 관계가 시작된다어떤 사람을 만나느냐에 따라 내가 그 사람을 통해 변화 또는 변질될 수 있고. 반대로 나를 통해 다른 사람이변화 또는 변질될 수도 있다. 비슷한 말로 '물든다'라고 표현하기도 하고 '친구 따라 강남 간다'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한 가지 예로 예능인 유재석 씨를 보면 이 분은 주변을 좋게 변화시키는 힘이 있다고 생각된다. 많은 사람들이 유재석 씨를 만나면 힘을 얻고 자신감을 얻고 희망을 얻는다. 연예계 내에서 그를 아는 사람이든 팬이나 시청자로서나 많은 분들이 느끼는 부분이다. 예전에 이런 글을 본 적이 있다. 너무나도 어렵고 힘들게 살아온 분이 있는데 그분이 스스로 목숨을 끊어야겠다 생각을 하고 있었고 더운 날씨에 아이스크림 하나 사.. 마음의 건강/인간 관계의 시작과 끝 2020. 10. 14. 인간관계의 시작은 '나' 모든 관계의 시작은 '나'라는 사람과 또 다른 사람을 만남으로 시작하기에 인간관계의 시작점은 '나' 자신이다. 그리고 관계가 시작되는 첫 만남이 가족 곧 부모와 자식 간의 만남이다. 모든 관계의 시작이 부모와 자식 간의 만남이기에 이 만남이 모든 관계의 근본이며 중요하다는 것이다. 실로 이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었느냐에 따라 모든 관계를 맺어가는데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한 예로 얼마 전 프로 중 이효리 씨가 이상순 씨에 대해 말한 내용을 보면 이효리 씨는 감정의 폭이 크고 예민하지만 이상순 씨는 감정의 폭이 크지 않고 안정적이라 항상 그 자리에서 자기를 기다려준다고 한다. 그런데 이상순 씨 집안 또한 그렇다는 것이다. 이상순 씨는 그런 환경 속에서 그런 관계 속에서 보고 자라왔기에 그렇게 사람과의 관.. 마음의 건강/인간 관계의 시작과 끝 2020. 10. 13. 인간 관계의 시작 요즘 인간관계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사람이 사는 곳이라면 어디에서건 인간관계에 대한 어려움을 많이 호소 하기에 그러한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글을 쓴다. 인간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은 이 글들을 통해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거라 본다. 나 자신이 먼저 경험했고 많은 분들도 해결을 받았기에 더 많은 분들이 이 글을 통해 해결해나갔으면 한다. 먼저 인관관계의 시작과 끝은 무엇일까? 인간관계는 '나'라는 한 사람으로부터 시작이 되고 '나'라는 한 사람으로 끝이 난다.. 결국 인간관계에 있어 어려움을 겪거나 그렇지 않거나. 인간관계를 잘해나가거나 잘 해나가지 못하는 것의 문제와 해결 방법은 '나' 자신이란 것이다. 그렇다고 '나'자신을 탓하라는 것은 아니다. 내가 원하지 .. 마음의 건강/인간 관계의 시작과 끝 2020. 10. 12. 이전 1 2 다음 💲 추천 글 728x90 반응형